소음 기록 방식

녹음기처럼 기록을 하면,

집안 얘기, 전화 통화 등등... 모든 소리가 녹음이 되어 소음 수치를 반복적으로 재 평가하기엔 좋지만, 측정하는 동안 나의 사생활을 노출시키게 되는 문제가 있습니다.

음파는 마이크로폰을 통해 전압값으로 입력 됩니다.

보통 이런 차트로 표현이 되는데,정확하게 예기해서는 마이크로폰에서 출력되는 전압입니다.

​소리의 떨림(파형)에 따라 마이크로폰에서 출력되는 전압도 상하로 파형을 만들고, 이 파형을 시간과 log(로그, 지수)로 계산해서 주파수와 데시벨 수치로 변하게 되는 것이죠.

​소리는 위와 같이 연속적으로 값이 변하기 때문에 빠르게 반복해서 값을 확인(셈플링)하지 않으면 최고점(Peak)를 놓치기 쉽습니다.

즉, 정확한 데시벨 수치를 놓칠 수  있다는 것이죠.

일반적인 주파수인 1000Hz를 샘플링하기 위해서는, 한 주기에 20번 이상 해야하는데, 최소 50 micsec( 0.00005 초 )마다 값을 읽어서 비교하고, 저장하는 것을 반복해야 했습니다.

실제로는 더 빠르게 하고 있습니다.

이 결과로, 기존의 고가 소음측정기와 동일한 방식으로, 기록된 데이터로는 박수소리인지 사람 목소리 인지 알 수 없는, 단순히 소리의 크고 작음만 알 수 있는 음압 수치만 추출할 수 있었고, 이 수치를 최적화한 후 기록하여 일주일, 최장 30일 까지도 연속으로 측정할 수 있는 노이즈닥터를 개발하게 되었습니다.